티스토리 뷰
자녀 결혼자금 증여세 공제, 혜택 대폭 확대 알아보세요
히든$ 2024. 5. 29. 03:26
자녀의 결혼은 가정의 큰 사건 중 하나입니다. 그에 따라 부모로서 자녀의 결혼을 위해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입니다. 최근에는 정부에서도 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혜택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자녀 결혼자금 에 대한 증여세 공제와 근로복지공단의 결혼자금 대출 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녀 결혼자금 증여세 공제
2023년 세법개정안에 따라 결혼자금 증여세 공제 한도가 상향조정되었습니다. 기존의 10년간 5000만 원까지 증여세를 면제해 주던 제도에서, 결혼 자금에 대해서는 1억 원 추가 적용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로써 양가에서 1억을 추가로 증여하면 최대 3억 원까지 결혼자금 증여세 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증여를 받은 신혼부부는 전세보증금 등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혼인신고를 빠르게 해야 합니다.
자녀 결혼자금 증여세 공제 세부 사항
구 분 |
현 행 |
개정안 |
배우자 |
6억원 |
좌 동 |
직계존속 → 직계비속 |
5천만원 (미성년자 2천만원) |
5천만원 (미성년자 2천만원) + 혼인공제 1억원 |
직계존속 → 직계비속 (기타친족) |
1천만원 |
좌 동 |
근로복지공단 결혼자금대출
근로복지공단은 결혼자금 대출을 통해 재직자 및 특수형태 근로자에게 결혼자금 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를 받기 위해서는 일정한 요건과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근로복지공단 결혼자금대출 요건
- 재직 요건: 3개월 이상 근로 중이거나 특수형태 근로 종사자, 또는 중소기업사업주 산재보험 특례에 3개월 이상 가입 중인 자영업자
- 소득 요건: 근로자의 경우 월 평균 소득은 2023년 기준 월평균 296만원 이하여야 함. 특수형태 근로 종사자나 1인 자영업자의 경우 소득 요건 없음.
- 혼인 기한: 혼인신고일로부터 1년 이내여야 함.
자녀의 결혼은 가족의 새로운 시작을 의미합니다. 이를 위해 정부와 근로복지공단에서 제공하는 자녀 결혼자금 관련 혜택을 적극 활용해보세요. 이를 통해 가정의 행복한 출발을 돕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구 분 |
내 용 |
공제 한도 |
5천만원 → 1억 5천만원 |
대출 금리 |
연 1.5% 고정 |
상환 기간 |
1년 거치 후 3년 또는 4년 매월 원금균등분할상환 |
대출 신청 |
언제든지 궁금한 점이나 신청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위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세요.